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0

원형 이론이란? 페르소나, 그림자, 아니마와 아니무스, 양성성 개발의 중요성 -원형이론이란? - 페르소나 - 그림자 - 아니마와 아니무스 - 양성성이 개발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원형이론이란? 집단 무의식을 더 세세하게 표현한 것이 '원형 이론'입니다. 원형은 집단무의식의 내용을 이루고 있는데 한번 생각해 볼까요? 우리 인류는 엄청나게 오래 적부터 다양한 경험을 통한 기억들이 많았을 것입니다. 그래서 그만큼 원형은 정말 다양하게 많다고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태양, 남자, 군인, 학자 원형, 어머니 원형 등이 정신 어딘가에 자연스럽게 내재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대로 학자 집안에서 태어나고 농부 집안에서 태어나고, 유럽에서 태어났고 한국에서 태어난 어머니들이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각각의 어머니들은 각자 개인적 환경이 달라서 모두 다른 방식으로 어머니의 모습들을.. 2024. 1. 10.
융의 분석심리학, 프로이트의 개인무의식을 넘어서는 집단무의식 - 구스타프 칼 융의 생애 - 인격의 구조를 이루는 요소들 - 의식과 개성화 - 개인무의식과 콤플렉스 - 집단무의식 구스타프 칼 융의 생애 융은 1875년 스위스 작은 마을에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다소 행복하지 못한 가정에서 자랐습니다. 융은 아동기 때부터 혼자만의 생각에 몰두해 많은 시간을 꿈의 의미와 그가 경험한 초자연적인 환상에 깊이 빠져서 보냅니다. 그리고 10살이 되었을 때 2인치 나무로 인간의 형상을 조각해 혼자 숨겨 놓고 때때로 형상과 이야기하거나 비밀스러운 부호로 이야기 내용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신화, 연금술, 종교학 등 과학적이지 않은 학문에도 관심을 가진 사람으로서 특히 자신을 이해하려는 열망은 그를 정신의학으로 이끌었습니다. 특히 프로이트는 융에게 매우 중요한 인물입니다... 2024. 1. 10.
리비도가 집중되는 신체 부위에 따른 심리 성적 발달 단계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리비도가 집중되는 신체 부위에 따른 심리 성적 발달 단계 - 구강기와 항문기 - 남근기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잠복기와 성기기 리비도가 집중되는 신체 부위에 따른 심리 성적 발달 단계 프로이트는 성격이 몇 개의 단계를 거쳐서 발달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때 성 에너지라고 부르는 리비도가 집중되는 신체 부위가 달라지는데요. 리비도가 집중되는 신체 부위에 따라서 단계를 구분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단계는 '구강기'인데, 말 그대로 입에 리비도 에너지가 집중되는 시기입니다. 다음 단계는 '항문기'. '남근기', 그리고 성적 에너지가 활성화되지 않고 약간 잠복되어 있는 시기인 '잠복기'를 거쳐서 '성기기'까지 도달했을 때 사람들은 성적인 관심이 성숙된다고 보고 있는 것이 프로이트의 성격발달단계이론입니다. .. 2024. 1. 10.
정신분석학에서 말하는 불안과 방어기제, 성숙한 방어기제 만들기 - 불안 - 방어기제 (성숙하지 않은 방어기제, 성숙한 방어기제) - 성숙한 방어기제 만들기 불안에 대처하는 유아의 능력이 곧 그가 어떻게 삶 자체에 대처해 나갈지를 결정짓는다 – Richy Emanuel- 불안 불안은 정신분석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 가운데 하나입니다. 불안은 위험이 가까이 있다고 느끼고 스스로 통제하기 힘들다고 느낄 때 경험하게 됩니다. 이러한 불안은 현실적 불안, 신경증적 불안, 도덕적 불안으로 세 가지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먼저 현실적 불안은 현실세계에 실제로 정말 우리를 불안하게 만드는 원인이 존재하는 것입니다. 자아가 현실에 존재하는 어려움을 통제하기 어렵다고 자각하여 나타나는 불안입니다. 예를 들어 당장 수능시험을 앞둔 학생들 같은 경우 시험이 끝나기 전까지 불안할 것입니다.. 2024. 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