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0

아들러 4가지 생활 양식과 출생 순위에 따른 성격 특징 - 아들러의 생애 - 4가지 생활양식 - 출생 순위에 따른 성격 특징 아들러의 생애 성격심리학은 개인적인 경험이 많이 반영되는 이론인 만큼 아들러의 생애는 인간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주요 원천이 될 수 있습니다. 아들러는 1970년 비엔나에서 6형제 중 둘째로 태어났습니다. 그는 어렸을 때 구루병(연골화증)을 앓아서 뒤늦게 걷게 되었고, 4살 때 폐렴으로 인해 그리고 길거리에서 손수레에 치어 2번이나 죽을 고비를 넘겼습니다. 또한 아들러는 수학 성적이 낮아 선생님이 학교를 그만두고 구두 제조사로 일하도록 권유받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신체적으로도 정신적으로 열등감을 경험했던 아들러는 아버지의 지지로 학급에서 수학성적이 가장 높은 학생이 되었고 의과대학을 졸업해 의사가 되게 됩니다. 이러한 그의 인생은 그의 .. 2024. 1. 11.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사회적 관심이 중요한 이유, 열등감이 나쁜 게 아니다. 열등 콤플렉스와 우월 콤플렉스 - 아들러는 왜 '사회적 관심'을 중요하게 봤을까? - 열등감이 나쁜 게 아니다 - 열등 콤플렉스란? 열등 콤플렉스가 생기기 쉬운 세 가지 환경 - 우월 콤플렉스가 아닌 우월성 추구를 해야 한다 아들러는 왜 '사회적 관심'을 중요하게 봤을까? 사람들은 수많은 의미 속에서 살고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가 부여한 의미를 통해서 현실을 경험합니다. 객관적인 현실 자체가 아니라 해석된 무엇으로써 경험하는 것인데요. 누군가 '인생의 의미란 무엇입니까'라고 묻는다면 그 질문에 대답하는 방법은 자신의 행동을 통해서일 것입니다. 그가 하는 행동, 표현방식, 야심, 습관, 성격 특징 하나하나에는 '나는 이러이러한 사람이고 세계는 이러이러하다'라는 판단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그 사람이 생각하는 인생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을.. 2024. 1. 11.
MBTI 유형론의 시초, 외향성, 내향성과 사고,감정, 감각, 직관으로 조합된 8가지 유형의 특성 - MBTI 유형론의 시초(개인의 성격을 유형화하다)) - 외향성과 내향성 - 사고, 감정, 감각, 직관 - 8가지 성격 유형의 특성 - 성격 유형에 관한 오해들, 좋은 성격이란? MBTI 유형론의 시초(개인의 성격을 유형화하다 ) ​우리가 의식적으로 주의를 기울일 때 사고, 감정, 감각, 직감'이라 부르는 네 가지 심적 기능에 따라 의식의 지향을 결정합니다. 또한 두가지 태도인 '외향성과 내향성'이라는 태도에 따라 주의를 기울이는게 달라집니다. 이들을 조합하면 8개유형이 나는데, 이는 곧 성격이 달라지게 되는 요인이 됩니다. 이것이 나중에 MBTI라는 심리척도로 계승되게 되어 16가지 조합의 성격유형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이때 내향성, 외향성은 타고난 것인데, 내향성은 객체에 대한 부정적 태도, 방어적.. 2024. 1. 10.
무의식을 알아야 하는 이유, 자기(Self) 완성, 무의식을 무시하면 생기는 일, 심리적으로 종교가 있으면 좋은 이유 - 무의식을 알아야 하는 궁극적 목적과 이유, 자기(Self) 완성 - 만약 무의식이 주는 메시지를 무시한다면? 중년에 오는 위기 - 심리학과 종교, 심리적으로 종교가 있으면 좋은 이유 무의식을 알아야 하는 궁극적 목적과 이유, 자기(Self) 완성 융은 무의식이 가진 치유의 힘을 가르쳐 주고 싶어 했던 학자입니다. 무의식이 주는 메시지를 믿고 적극적으로 자기(Self)를 인식하려는 노력을 하면 자아가 의식과 무의식을 통합하는 길로 잘 갈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무의식의 메시지를 읽을 수 있을까요? 바로 '무의식의 의식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번시간에 배웠던 집단무의식의 원형들(페르소나, 그림자, 아니마와 아니무스)을 '의식'함으로써 메시지를 읽을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태양계의 중.. 2024. 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