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0

성격의 세 가지 요소,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 ego)' - 원초아(id) - 자아(ego) - 초자아(super ego) - 원초아, 자아, 초자아 중 어떤 걸 가장 키워야할까? 원초아(id) 전 시간에 배웠던 '의식', '무의식'이라는 구분과 또 다르게 우리 속에 있는 세 명의 작은 사람들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성격은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고 하는데 하나는 (id) 원초아라는 것, (ego) 자아라는 것 (super ego) 초자아라는 것입니다. 이 세 요소들은 서로 다른 기능을 담당합니다. 우선 id는 기본적으로 본능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려고 하는 성격 구조입니다. '먹고 싶다', '자고 싶다', '놀고 싶다' 같은 건데요. 우리가 어떤 일을 충동적으로 행할 때면 그 행동에서 이드의 존재를 알 수 있습니다. 예컨대 창문에 돌을 던지고 싶다거나, 남의 발을.. 2024. 1. 9.
프로이트 '무의식이 모든 걸 결정한다', 무의식을 알아차리는 방법과 무의식을 통한 마음 치료 - 프로이트의 생애 - 무의식이란, 무의식이 모든 걸 결정한다 - 무의식을 알아차리는 방법 - 무의식을 알아야 하는 이유, 무의식을 통한 마음 치료 프로이트의 생애 1856년 유태인 아버지와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프로이트는 빈대학 의학부에 들어가 과학적으로 모든 것을 밝힐 수 있다고 생각하며, 생리학, 조직학, 해부학 등에 공부를 많이 했습니다. 처음에 그는 임상신경학자로서 개업을 하게 되는데 그가 정신의학에 관심을 갖게 되는 일대 전환기는 바로 파리로 유학을 가 '쟝 샤르코'를 만나게 된 일이었습니다. 샤르코는 히스테리 사례들을 최면술로 치료를 하는 사람으로 처음에 프로이트는 그의 최면술을 열심히 배우게 됩니다. 하지만 샤르코가 소개한 증상들은 해부학을 떠난 지식이라고 생각한 프로이트는 비록 최면술을.. 2024. 1. 8.
알아차리기, 깨어나기, 관찰하기, 벗어나기를 통해 진정한 나를 만나는 방법 - 행동을 통해 알아차리기 - 의식하기를 통한 깨어나기 - 내면의 관찰자가 되어 관찰하기, 그리고 벗어나기 - 각 유형마다 '동일시'하는 패턴은 무엇일까? 행동을 통해 알아차리기 에니어그램은 우리가 자신의 성격이라는 제한된 메커니즘에서 벗어나 자신이 누구인지를 깊이 체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러나 이것이 자동적으로 일어나지는 않는다. 성격 유형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것이 전제 조건이기는 하지만 정보 자체가 우리를 자유롭게 하지는 않는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먼저 우리가 자신의 변화를 지켜봐야 한다. 자기 자신과 자신의 행동을 주의 깊에 살펴보는 것이다. 우리는 매순간 자신이 성격이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보면서 행동 속에서 자신을 알아차리기를 배워야 한다. 과거의 행동을 분석해 볼 수도 .. 2024. 1. 7.
성격 유형 구별이 과하면 독이 되는 이유, 어떻게 어린 시절에 성격이 만들어질까? 개요 - 성격 유형 구별이 과하면 독이 되는 이유 - 자신을 성격과 동일시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 - 자신의 성격에 끌려 다니지 않는 방법은? - 어떻게 어린 시절에 성격이 만들어질까? - 성격의 틀에서 벗어나 진정한 '나'가 되기 - 본질은 소멸, 손상되지 않는다 성격 유형 구별이 과하면 독이 되는 이유 성격테스트나 검사를 통해 유형화한 나의 성격에 대한 설명을 읽고 나면 우리는 지나치게 성격 패턴에 우리를 가둬두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우리의 성격 패턴은 익숙한 조건적인 부분들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는 그보다 훨씬 더 많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성격의 한계를 넘어서는 크고 무한한 존재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의 본질'이다. 우리는 대부분 성격이 무엇인지는 알고 있지만 '본질'에 대해서는 생각해 보지.. 2024. 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