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7

무의식을 알아야 하는 이유, 자기(Self) 완성, 무의식을 무시하면 생기는 일, 심리적으로 종교가 있으면 좋은 이유 - 무의식을 알아야 하는 궁극적 목적과 이유, 자기(Self) 완성 - 만약 무의식이 주는 메시지를 무시한다면? 중년에 오는 위기 - 심리학과 종교, 심리적으로 종교가 있으면 좋은 이유 무의식을 알아야 하는 궁극적 목적과 이유, 자기(Self) 완성 융은 무의식이 가진 치유의 힘을 가르쳐 주고 싶어 했던 학자입니다. 무의식이 주는 메시지를 믿고 적극적으로 자기(Self)를 인식하려는 노력을 하면 자아가 의식과 무의식을 통합하는 길로 잘 갈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무의식의 메시지를 읽을 수 있을까요? 바로 '무의식의 의식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번시간에 배웠던 집단무의식의 원형들(페르소나, 그림자, 아니마와 아니무스)을 '의식'함으로써 메시지를 읽을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태양계의 중.. 2024. 1. 10.
원형 이론이란? 페르소나, 그림자, 아니마와 아니무스, 양성성 개발의 중요성 -원형이론이란? - 페르소나 - 그림자 - 아니마와 아니무스 - 양성성이 개발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원형이론이란? 집단 무의식을 더 세세하게 표현한 것이 '원형 이론'입니다. 원형은 집단무의식의 내용을 이루고 있는데 한번 생각해 볼까요? 우리 인류는 엄청나게 오래 적부터 다양한 경험을 통한 기억들이 많았을 것입니다. 그래서 그만큼 원형은 정말 다양하게 많다고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태양, 남자, 군인, 학자 원형, 어머니 원형 등이 정신 어딘가에 자연스럽게 내재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대로 학자 집안에서 태어나고 농부 집안에서 태어나고, 유럽에서 태어났고 한국에서 태어난 어머니들이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각각의 어머니들은 각자 개인적 환경이 달라서 모두 다른 방식으로 어머니의 모습들을.. 2024. 1. 10.
융의 분석심리학, 프로이트의 개인무의식을 넘어서는 집단무의식 - 구스타프 칼 융의 생애 - 인격의 구조를 이루는 요소들 - 의식과 개성화 - 개인무의식과 콤플렉스 - 집단무의식 구스타프 칼 융의 생애 융은 1875년 스위스 작은 마을에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다소 행복하지 못한 가정에서 자랐습니다. 융은 아동기 때부터 혼자만의 생각에 몰두해 많은 시간을 꿈의 의미와 그가 경험한 초자연적인 환상에 깊이 빠져서 보냅니다. 그리고 10살이 되었을 때 2인치 나무로 인간의 형상을 조각해 혼자 숨겨 놓고 때때로 형상과 이야기하거나 비밀스러운 부호로 이야기 내용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신화, 연금술, 종교학 등 과학적이지 않은 학문에도 관심을 가진 사람으로서 특히 자신을 이해하려는 열망은 그를 정신의학으로 이끌었습니다. 특히 프로이트는 융에게 매우 중요한 인물입니다... 2024. 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