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에니어그램 하모닉 그룹이란? 대처방식에 따른 성격 유형 세 가지(긍정적 태도 그룹, 능력 그룹, 반응 그룹)

by 싸이쌤 2024. 1. 22.
반응형

하모닉 그룹, 대처방식에 따른 성격 유형 (긍정적 태도 그룹, 능력 그룹, 반응 그룹)
하모닉 그룹, 대처방식에 따른 성격 유형 (긍정적 태도 그룹, 능력 그룹, 반응 그룹)

하모닉 그룹이란?

에니어그램의 아홉 가지의 유형을 분류하는 세 번째 중요한 방식은 바로 하모닉 그룹이다. 하모닉 그룹은 각 유형이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할 때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우리의 성격이 상실과 실망을 겪을 때 자신을 방어하는 기본적인 방식을 드러내 보여 주는 것이다. 각 중심의 주된 유형(3번, 6번, 9번 유형)에는 여러 가지 면에서 그것과 아주 유사하게 보이는 두 가지 부차적인 유형이 있다. 이들 유형은 유사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혼동하기가 쉽다. 예를 들어 9번 유형은 2번이나 7번 유형과 혼동하기 쉽다. 3번 유형은 1번, 5번 유형과 혼동하기 쉬우며, 6번 유형은 4번, 8번 유형과 혼동하기 쉽다. 에니어그램 상징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선은 없지만 공통적인 주제와 문제가 이들 유형을 결합시킨다. 하모닉 그룹은 자신의 주된 욕구가 충족되지 않을 때 그 유형이 어떤 태도를 취하는지를 말해 준다. 다시 말하면 갈등과 어려움에 우리가 어떻게 대처하느냐를 말해 준다. 긍정적 태도 그룹(The Positve Oudook Group)으로는 9, 2, 7번 유형이 이에 속하며, 능력 그룹(The Competeney Group)은 1, 3, 5번 유형이, 반응 그룹(The Reactive Group)은 6번, 4번, 8번이 이에 속한다. 각각의 그룹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긍정적 태도 그룹 (2번, 7번, 9번 유형): 자신이 문제를 갖고 있음을 부인한다

이 유형은 모두 가능한 긍정적인 태도를 취함으로써 긍정적인 방식으로 실망을 재구성한다. 이들은 삶의 밝은 면을 강조하고 보기를 원한다. 이 유형은 스스로가 좋은 기분에 머물기를 원하기 때문에(나는 문제를 갖고 있지 않아) 다른 사람들도 좋은 기분이 들게끔 '사기를 북돋아 주는 사람'들이다.이 유형들은 자신의 어두운 부분에 직면하기를 어려워하며, 자신 안에서 고통스럽거나 부정적인 것을 보기를 원하지 않는다. 또한 유형에 따라서는 자신의 욕구와 다른 사람들의 욕구 사이에 균형을 이루는 것을 어려워할 수 있다. 2번 유형은 다른 사람들의 욕구에 중점을 두지만, 7번 유형은 자신의 욕구에 중점을 둔다. 9번 유형은 두 가지 모두를 중시하려고 노력하나 결국 양쪽을 적절히 충족시키는 데 실패하고 만다.

  • 2번: 너는 문제를 갖고 있어. 내가 너를 도와줄게
  • 7번: 문제가 있지만 나는 괜찮아
  • 9번: 뭐가 문제야? 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아
긍정적 태도 그룹의 주요 주제
유형 강조점 회피하는 것 욕구와 관련된 문제
2번유형 나는 사랑이 많고 남을 잘 보살핀다는 자아상을 가진다.
이들은 자신의 좋은 의도에 초점을 맞춘다
자신의 필요
실망, 분노
다른 사람의 욕구를 지나치게 강조하고 자신의 욕구는 무시한다
7번유형 긍정적인 경험, 즐거움, 활동, 흥분, 재미 자신의 고통이나 허무감, 자신과 타인을 고통스럽게 하는 역할 자신의 욕구를 강조한다.
이들에게는 다른 사람의 욕구가 짐으로 느껴지기가 쉽다
9번유형 타인이나 환경의 긍정적인 면.
이들은 세상을 이상적으로 본다
사랑하는 사람이나 환경과의 문제, 자기 스스로가 발전하고 있지 않는 것 자신이나 타인의 욕구가 벅차게 느껴짐.
이들은 이 둘 모두를 다루기를 원치 않는다.

능력 그룹 (1번, 3번, 5번): 감정을 끊어 버리고 문제를 논리적으로 해결한다

능력 그룹은 자신의 개인적인 감정을 뒤로 젖혀 두고 객관적이고 유능해지기 위해 노력함으로써 어려움을 다루는 법을 배운다. 이들은 자신의 주관적인 필요와 감정을 뒤로한다. 이들은 논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하며 다른 사람도 그렇게 해 주기를 기대한다. 이 유형은 특정 틀이나 체제 안에서 일하는 것과 관련하여 문제를 갖고 있다(이 체제 안에서 내가 어떤 기능을 할까? 내 이익을 위해 이것을 사용할 수 있을까? 이것이 내가 원하는 일을 하는 데 방해가 되지 않을까?' 등등) 체제에 대한 이 유형의 자세는 가족과의 관계에서 발전되었다. 이들은 체제의 가치에 얼마만큼 자신을 주기 원하는지, 그리고 체제에서 얼마나 물러나 있기를 원하는지를 확신하지 못한다. 1번 유형은 이들의 성실성을 아무도 의심하지 않을 정도로 규칙을 잘 따르며 규칙 안에서 움직인다. 반면 5번 유형은 규칙 밖에서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3번 유형은 규칙과 구조에서 이득을 취할 때는 취하지만 그것에 제약을 받지는 않으면서 규칙 안과 밖 모두에서 움직인다.

  • 1번: 우리는 이 문제를 합리적이고 성숙한 어른처럼 해결할 수 있다고 믿어
  • 3번: 이것에 대한 효율적인 해결책이 있어 - 우리는 해결을 해야 해
  • 5번: 여기에는 숨겨진 면들이 많아. 그것에 대해 생각해 봐야겠어
능력 그룹의 주요 주제
유형 강조점 감정 관리 체제와의 관계
1번
유형
정확하고, 잘 조직되고 합리적이 되는 것
이들은 자신을 개선시키고 규칙을 잘 알아서 모범이 되고자 한다
감정을 억압하고 부정함으로써, 감정은 모든 일을 제대로 하려는 활동 속에 묻혀 버린다
억압된 감정이 신체적인 경직으로 축적된다
1번 유형들은 체제와 함께 일하기를 원한다
이들은 '좋은 아이'가 되려 하며 규칙을 무시하는 사람을 싫어한다
3번유형 효율적이고 유능하며 뛰어나게 되는 것
목표에 초점을 맞추며 실용적이 되고 자신을 어떻게 표현할지 알고 싶어한다
감정을 억압하고 자신의 과제에 집중함으로써 얻는 성취가 고통스러운 감정을 상쇄시켜준다. 
이들은 감정을 일으킨 원인을 타인에게서 찾는다
3번 유형들은 체제와 함께 일하기를 원한다. 그러나 이들은 규칙을 무시하고 지름길을 찾으면서 체제 밖에 있기를 좋아하기도 한다
5번유형 전문가가 되고 깊이 있는 정보를 갖는 것
이들은 과정, 객관적 사실, 명확성과 독립성을 유지하는 것을 중시한다
감정을 분석하고 추상화함으로써 마치 자신의 감정이 남의 것인 양 그 감정에 말려들지 않고 머리로 그것을 처리한다 5번 유형들은 체제를 거부하고 체제 밖에 있으면서 혼자 일하기를 원한다. 이들은 규칙이나 절차에 대한 인내심이 없다

반응 그룹(4번, 6번, 8번): 강하게 반응하며 다른 사람들의 반응을 필요로 한다

반응 그룹은 갈등과 문제에 감정적으로 반응하며, 다른 사람들을 얼마나 신뢰해야 하는지 알기 어려워한다. 문제가 생기면 다른 사람들이 감정적인 반응을 보여서 자신의 걱정을 반영해 주기를 원한다(나는 이 점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를 알기 위해 당신이 필요해요). 갈등 상황에서도 이 유형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감정적인 상태에 맞춰 주기를 바란다(이것은 정말로 나를 괴롭혀요! 이것이 당신도 괴롭혀야만 해요!) 이 그룹의 유형들은 싫고 좋음이 분명하기 때문에 이들에게 문제가 있으면 다른 사람들도 곧 알게 된다. 이들은 갈등 상황에서 자신의 감정을 먼저 다루기를 원하며 대개의 경우 자신의 감정을 다루고 난 후에야 상황이 정리된다. 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발산할 수 없다면 크게 화를 내고 복수심을 갖게 될 것이다. 또한 이들은 독립성 혹은 스스로 결정하려는 욕구와 다른 사람들의 지원이나 보살핌을 받고자 하는 욕구 사이에서 균형 맞추기를 어려워한다. 이들은 타인을 신뢰하면서도 동시에 신뢰하지 않는다. 다른 사람들의 지원과 애정을 받아들이는 것은 중요한 욕구지만 그렇게 함으로써 자신이 환경에 대한 통제를 잃는다는 느낌 때문에 힘들어한다. 이들은 배신당하는 것을 두려워하며 자신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태도를 알고 싶어 하기 때문에 사람들로부터 피드백을 필요로 한다. 이들은 조언이나 지시(부모 역할)를 구하거나 반대로 그것에 도전한다(반항). 4번 유형들은 다른 사람들이 부모 역할을 해 주기를 원한다. 8번 유형들은 부모와 보호자의 역할을 하고 싶어 한다. 6번 유형들은 둘 모두를 원한다. 때로는 부모 역할을 하고 때로는 다른 사람들이 부모 역할을 해 주기를 원한다.

  • 4번: 나는 정말 상처받았어. 난 나 자신을 표현해야 해
  • 6번: 난 정말 스트레스를 받고 있어. 어떻게든 이걸 해야 돼
  • 8번: 나는 이것에 대해 화가 나. 마음껏 화를 낼 거야.
반응 그룹의 주요 주제
유형 추구하는 것 두려움 타인을 대하는 방식
4번유형 구원자. 자신을 이해하고 자신의 삶과 꿈을 지원해줄 수 있는 사람.
이들은 자신을 드러내기를 원한다
버려지는 것, 아무도 자신을 돌보지 않는 것. 자기 자신을 찾고 자신이 되기 위한 충분한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것 자신은 다가가기 힘든 사람이라는 인상을 줌으로써 사람들이 다가오는 것을 제한하고 자신을 지원하는 것에만 집착함으로써 사람들의 관심을 받으려 한다
6번유형 독립성과 지원. 이들은 의지할 사람을 원한다. 그러나 '강한 사람'이 되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 버려지고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것. 그러나 동시에 다른 사람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도 두려워한다. 자신의 독립성을 유지하려고 노력하면서 헌신적이 되고 믿을 수 있는 사람이 되려 한다. 이들은 붙임성 있지만 방어적이다
8번유형 독립성과 자립. 이들은 가능한 한 다른 사람들의 도움이나 지원을 받지 않기를 원한다 통제당하는 것. 타인에게 지배당하는 것. 이들은 누군가와 친해져서 상대방을 지나치게 신뢰하게 됨으로써 자신의 약한 면을 드러내게 될까 봐 두려워한다. 자기 방어를 유지하며 다른 사람들이 너무 가까이 오지 않도록 한다. 다른 사람을 거칠게 대하는 것은 상처받는 것이 두렵고 자신도 다른 사람이 필요하다는 것에 저항하기 때문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