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에니어그램 감정 중심 유형(2번, 3번, 4번) 결핍의 원인과 문제

by 싸이쌤 2024. 1. 18.
반응형

감정 중심유형 결핍의 원인과 문제
감정 중심유형 결핍의 원인과 문제

감정 중심

감정 중심은 심장과 접해 있을 때 사랑을 받고 가치 있게 여겨진다고 느낀다. 가슴을 열 때 자신이 누구인지를 알게 되며, 신의 사랑을 받고 있으며 사랑이 우리 안에 있다는 것을 느낄 때, 비로소 진정한 정체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느끼며, 사랑이 세상으로 흘러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들의 가슴이 닫혀 있거나 막혀 있다면, 이러한 결핍된 사랑의 상실은 견딜 수 없기 때문에 성격이 끼어들어 대체할 정체성을 만들고, 가치 있는 사람이라는 느낌을 줄 수 있는 다른 것들을  찾게 만든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은 자아 이미지의 발달에 관심을 둔다. 거짓된 정체성을 만들고 그 정체성과 동일시함으로써 심장의 본질적인 자질과 깊이 연결되지 못한 것을 보상한다. 이들은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이 이미지를 내보이면서 사랑과 관심, 동의, 자신이 가치 있는 사람이라는 느낌을 끌어 오기를 바란다. 2번, 3번, 4번 유형들은 심리학적인 용어로 자신의 '나르시스적인 상처'와 연결되어 있다. 이들은 어릴 때부터 진정한 자신은 가치 있게 여겨지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을 한다.. '나르시스적인 상처'를 전혀 받지 않고 어린 시절을 보낸 사람은 아무도 없기 때문에 우리는 모두 다른 사람에게 진정한 자신이 되는 것을 어려워한다. 우리는 자신의 모든 것을 말하고 보여 주면 공허하고 가치 없는 존재가 되지 않을까 두려워한다. 그래서 상대의 진정한 모습을 보기 어렵게 되고 또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보이게 한 적도 거의 없다. '이것이 진정한 나야. 그렇지?, '넌 이걸 좋아해. 그렇지?'라고 말하면서 진정한 자신을 위장된 이미지로 대체한다. 그러면 우리의 이미지를 사람들이 좋아할 것이다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우리가 자신의 성격과 '동일시'하면 할수록 더 깊은 곳에 있는 진정한 자아는 더욱 인정받지 못한 채로 남아 있게 된다. 감정 유형들은 이 딜레마에 대한 세 가지 해결책을 제시한다. 그 해결책은 사람들이 자신을 좋아할 수 있도록 그들을 기쁘게 해주는 것(2번 유형), 사람들이 자신을 칭찬하고 인정할 수 있도록 뭔가를 성취하는 뛰어난 사람이 되는 것(3번 유형), 자신에 대해서 특별한 이야기를 갖고 자신의 모든 특성에 엄청난 중요성을 부여하는 것(4번 유형)을 들 수 있다. 감정 유형에게 중요한 두 개의 주제는 정체성('나는 누구인가')과 적대감('내가 원하는 방식대로 나를 사랑해 주지 않기 때문에 당신을 미워해')이다. 이들 유형들은 자신의 정체성이 진정한 자신을 표현한 게 아니라는 것을 무의식적으로 알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정체성을 인정받지 못할 때 적대감을 가지고 반응한다.

 

2번, 3번, 4번 유형의 특징

  • 2번 유형

2번 유형은 다른 사람으로부터 호의를 얻는 데에서 자신의 가치를 찾는다. 2번 유형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필요로 하기를 바란다. 이들은 자신의 에너지와 주의를 사람들에게 기울임으로써 호감의 반응을 얻어 내려고 애쓴다. 2번 유형의 사람들은 자신을 존중하는 마음을 얻기 위해 다른 사람들에게 친절과 도움과 선의를 먼저 베푼다. 그렇게 해서 다른 사람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싶어 한다. 이들의 감정의 초점은 밖, 즉 다른 사람들에게 있다. 그 결과 이들은 자기의 감정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적대감이 생길 때 가능한 한 그것을 숨기려 하고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게 감사를 표하지 않는다는 느낌을 자주 받게 된다.

  • 4번 유형

4번 유형은 그 반대이다. 이들의 에너지와 주의는 내면을 향해 있다. 이들의 정체성은 '남들과 다름'에 중점을 둔다. 그 결과 이들은 다른 사람들에게서 동떨어져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4번 유형의 사람들은 실제로 현재 일어나는 느낌을 허용하기보다는 감정을 만들어 내고 그것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 건강하지 않은 4번 유형의 사람들은 스스로를 희생자로 느끼거나 과거에 갇혀 있다. 이들은 자신에게 온갖 비극이 일어났기 때문에 자신이 다른 모습은 가질 수 없다고 믿는다. 이것 또한 사람들의 주의와 동정심, 어느 정도의 인정을 이끌어 내기 위한 방식이다.

  • 3번 유형

3번 유형은 내부와 외부 모두에 에너지를 쏟는다. 3번 유형도 2번 유형처럼 다른 사람들의 긍정적인 피드백과 승인을 필요로 한다. 3번 유형의 사람들은 성취를 통해서 가치를 찾는다. 이들은 어떤 사람이 가치 있는 사람이냐에 대한 나름대로의 개념을 발달시키고 그런 사람이 되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3번 유형들도 4번 유형들처럼 끊임없이 자신의 내면의 그림을 창조하고 그것을 유지하려고 하면서 내면을 향해 '스스로에게 말하는 것'에 엄청나게 많은 에너지를 쏟는다. 이들은 항상 진정한 자신 보다 더 많은 것을 사람들에게 드러내려고 노력한다.

감정 유형의 결핍의 원인과 문제

이들 유형들은 다양한 이미지를 만들어 내지만, 이들의 본심은 자신이 가치가 없다고 느끼고 있다. 그래서 이들의 성격은 자신이 가치가 없다고 느끼고 있는 사실을 스스로에게, 그리고 다른 사람들에게 숨기기 위한 시가지가 없다고 느끼고 있다. 2번 유형의 사람들은 "사람들이 나를 사랑하고 가치 있게 여기고 있으니까 나는 가치 있는 사람이야. 나는 사람들에게 좋은 일을 해 주고 사람들은 그것을 고마워해"라고 말하면서 자신이 가치 있는 존재라는 느낌을 가지려고 노력한다. 2번 유형들은 남을 구조해 주는 사람들이 다. 스펙트럼의 반대쪽에 있는 4번 유형들은 구조를 받는 사람들이다. 4번 유형의 사람들은 "나는 특별하고 다른 사람들과 다르니까 나는 가치 있는 사람이야. 누군가 나를 구해 주기 위해 노력을 하니까 나는 특별한 사람이야. 누군가가 내 문제를 해결해 주기 위해 노력을 하니까 나는 가치 있는 사람이 틀림없어"라고 말한다. 반면에 3번 유형의 사람들은 남을 구조할 필요가 없는 모범이다. 이들은 이렇게 말한다. "나는 성취를 했기 때문에 가치 있는 사람이야." 이처럼 '자신을 존중하는 마음을 쌓기 위한' 방법은 각각 다르지만, 세 유형은 모두 스스로에 대한 진정한 사랑이 부족하다. 또한 본능 중심의 유형들은 분노을 다루기 위해 노력한다면 감정 유형들은 수치심을 다루기 위해서 노력한다. 우리는 어린 시절 우리의 본질적인 자아로부터의 자질이 발현되는 게 거부될 때 자신에게 뭔가 잘못이 있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그 결과로 나타나는 감정이 수치심이다. 이들은 자아 이미지라는 수단에 의존하여 스스로가 가치 있다는 느낌을 갖기 위해 노력함으로써 수치심에서 벗어나려고 한다. 2번 유형의 사람들은 다른 사람을 보살피고 봉사하며 아주 좋은 사람이 됨으로써 수치심을 느끼지 않으려고 한다. 3번 유형의 사람들은 자신이 하는 일에서 괄목할 만한 성취를 이름으로써 수치심에 저항한다. 4번 유형의 사람들은 자신의 상실과 상처를 극적으로 만들고 스스로를 희생자로 봄으로써 더 깊은 수치심을 회피한다.

 

감정 중심 (2번, 3번, 4번)의 성격과 본질
성격 <---------------------> 본질
자아 이미지
만들어낸 이야기
감정에 치우침
기분에 매달림
상황에 따라 달라짐
과거 중심적
성실
진실성
사랑
용서와 흘려보내기
내면으로 향해 있음
현존
반응형